2021. 11. 20. 00:15ㆍ알고리즘/그리디
문제
남규는 통나무를 세워 놓고 건너뛰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N개의 통나무를 원형으로 세워 놓고 뛰어놀려고 한다. 남규는 원형으로 인접한 옆 통나무로 건너뛰는데, 이때 각 인접한 통나무의 높이 차가 최소가 되게 하려 한다.
통나무 건너뛰기의 난이도는 인접한 두 통나무 간의 높이의 차의 최댓값으로 결정된다. 높이가 {2, 4, 5, 7, 9}인 통나무들을 세우려 한다고 가정하자. 이를 [2, 9, 7, 4, 5]의 순서로 세웠다면, 가장 첫 통나무와 가장 마지막 통나무 역시 인접해 있다. 즉, 높이가 2인 것과 높이가 5인 것도 서로 인접해 있다. 배열 [2, 9, 7, 4, 5]의 난이도는 |2-9| = 7이다. 우리는 더 나은 배열 [2, 5, 9, 7, 4]를 만들 수 있으며 이 배열의 난이도는 |5-9| = 4이다. 이 배열보다 난이도가 낮은 배열은 만들 수 없으므로 이 배열이 남규가 찾는 답이 된다.
입력
입력은 T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첫 줄에 T가 주어진다.
이어지는 각 줄마다 첫 줄에 통나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5 ≤ N ≤ 10,000), 둘째 줄에 각 통나무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수 Li가 주어진다. (1 ≤ Li ≤ 100,0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한 줄에 주어진 통나무들로 만들 수 있는 최소 난이도를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3 7 13 10 12 11 10 11 12 5 2 4 5 7 9 8 6 6 6 6 6 6 6 6
예제 출력 1
1 4 0
접근 방법
- 0. 통나무의 길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1. 정렬된 통나무를 하나씩 탐색하며 왼쪽으로 추가할 나무와 오른쪽으로 추가할 나무를 하나씩 고려하여 현재 탐색 중인 통나무와 높이 차이가 더 많이 나는 쪽(숫자가 더 작은 쪽)에 해당 통나무를 설치한다.
- 2. 위의 과정을 반복한 뒤, 모든 탐색을 마치면 최대 높이를 출력한다.
코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497
# 접근 방법 (실버1)
# 0. 통나무의 길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1. 정렬된 통나무를 하나씩 탐색하며 왼쪽으로 추가할 나무와 오른쪽으로 추가할 나무를 하나씩 고려하여 현재 탐색 중인 통나무와 높이 차이가 더 많이 나는 쪽(숫자가 더 작은 쪽)에 해당 통나무를 설치한다.
# 2. 위의 과정을 반복한 뒤, 모든 탐색을 마치면 최대 높이를 출력한다.
tc = int(input())
for _ in range(tc):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l.sort()
left, right = l[0], l[0]
min_difficulty = 0
for i in range(1, n):
if left <= right:
min_difficulty = max(min_difficulty, l[i] - left)
left = l[i]
else:
min_difficulty = max(min_difficulty, l[i] - right)
right = l[i]
print(min_difficulty)
'알고리즘 > 그리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온라인 저지, 그리디 / 12904번: A와B (파이썬 / 백준 골드문제) (0) | 2021.11.21 |
---|---|
백준 온라인 저지, 그리디 / 3088번: 화분부수기 (파이썬 / 백준 골드문제) (0) | 2021.11.20 |
백준 온라인 저지, 그리디 / 10942번: 팰린드롬 (파이썬 / 백준 골드문제) (0) | 2021.11.19 |
백준 온라인 저지, 그리디 / 2878번: 캔디캔디 (파이썬 / 백준 골드문제) (0) | 2021.11.19 |
백준 온라인 저지, 그리디 / 13458번: 시험감독 (파이썬)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