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크(1), 컴퓨터 네트워크 개요

2022. 9. 15. 14:46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의 초반 내용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2022.03.08 - [강의 내용 정리/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 네트워크 (1) 서론

 

컴퓨터 네트워크 (1) 서론

컴퓨터 네트워크 서론 1. 컴퓨터 네트워크 1)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들이 연결된 것을 지칭하는 말로 최근에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작업 자체를 중시해 컴퓨터 네트워킹이라는 용어를 사용

konghana01.tistory.com


 

컴퓨터 네트워크 개요


 

 

1) LAN

  • 소유주가 동일한 건물들에 대해 커버할 수 있다.
  • 무선랜으로 커버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좁다.
  • 무선랜은 IEEE에서 나온 표준 규격을 사용한다.

 

cf) 무선랜의 장점은 장치가 있으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2) MAN

  • 도시에 대해 커버하는 것을 의미한다.

 

cf) Wireless MAN의 예시로 LoRa가 있다. 2~3km까지 떨어진 범위에 대해 커버가 가능하다.

 

 

3) WAN

  • 네트워크 간에 줄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
  • 다른 네트워크의 간섭이 없고, 암호화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ex) 경희대학교 서울캠, 국제캠 // 삼성전자 기흥캠, 평택캠

 

4) 기타

Body area network

- 몸을 지나가면서 통신한다. 

 


2. OSI 7 layer

1) OSI 7 layer란?

서버, 클라이언트 등에 대해 만든 사람이 다르더라도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해선 규칙이 필요하다. 따라서 서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통신을 주고 받는다. 이때의 규칙이 OSI 7 layer이다.

컴퓨터 내부의 수많은 소프트웨어는 여러 계층 구조로 이뤄져있다. 각 계층별로 통신을 진행한다. 동일한 계층에 대한 것은 peer communication이라한다. 이러한 peer communication은 서로에게 의미가 있다.

ex) 유튜브 클라이언트, 서버 / 웹서버와 웹클라이언트 

 

반면 OSI 7 layer는 상하 계층에 대해서는 독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cf)추가적으로 둘끼리 소통하는 경우에는 커뮤니케이션, 셋 이상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라고 한다. 1계층과 2계층은 둘 사이의 통신이기에 이는 네트워크가 아니다.

 

2) OSI 7 layer의 계층

1계층

0과 1을 가지고 무선/유선 장치로 전달한다.


2계층

0과 1을 주고받을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error detection) 또한 두 장치의 성능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상대방이 받을 수 있을 만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flow control)

 

1계층과 2계층은 서로 묶어서 보는 경우가 많다. 이 외의 계층은 서로의 계층에 관여하지 않는다. 


3계층

 라우터 등을 통해 통신을 한다. 

ex) IP


4계층

end to end이기에 끝과 끝에서 정보를 전달하는데 네트워크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검출도 한다.

 

ex) TCP

 

1~4계층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목적이기에 transport service라 하며 이 계층들에서는 사람이 바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5계층

각각의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실행시키되, 하나의 프로그램처럼 앙상블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이다. 또한 논리적인 줄로서 아래 계층과 위의 계층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cf) 인증과 인가

인증(Autherntication): 사용자 정보에 대해 올바른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인가(Autherization / permissions): 어느정도까지 허가할 것인지 확인한다.


6계층

암호화가 되어있는 것을 복호화하는 작업들을 한다. 즉, 0과 1로 코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압축하는 것도 이 부분에서 한다.


7계층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층


 

 

각 계층간에는 정보를 주고받는 것외에는 다른 동작을 하지 않는다.

라우터는 3계층까지 커버하고, 스위치는 2계층까지만 지원한다. 따라서 스위치는 네트워크의 개념이 아닌 줄을 연결하는 것에 그친다. 

 

크롬 브라우저는 4계층에 대한 내용만 있으면 할 수 있지만 다른 서버 등에 붙을 때 계층이 달라질 수 있다. 금융과 같은 곳에는 운영체제에 있는 tcp 대신 직접 보안이 강화된 tcp를 사용하기도 한다. tcp가 나온 뒤 5~7계츰은 하나로 묶이기 시작했다. 

 

 


3. Networking

1) 전통적인 네트워크

OSI 1~4계층 중심 기술을 설명한다.  하드웨어에 중심을 뒀다.

 

2) 현재의 네트워킹

네트워크가 아닌 연결하는 방식이 더 중요해졌고, OSI 1~4계층을 기반으로 하되, Application 계층 기반 신기술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의 시각으로 바뀌고 있어 개발중인 소프트웨어와 관련이 있는 것을 중심으로 변해간다. 또한 역할이 정해져있는 전통적인 장치들에 대해서도 역할을 조금씩 바꿀 수 있다.


4. 리눅스 파운데이션

리눅스 운영체제만 하는 것이 아닌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의 수 많은 소프트웨어가 들어가 있다. 전세계의 슈퍼컴퓨터는 모두 리눅스 기반이고, 쿠버네티스 등은 리눅스에 한정되어있어서 대부분의 서버에도 리눅스가 들어가있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도 리눅스 기반이 많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