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3)
-
데이터베이스(8),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ER 모델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ER 모델 1.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개요 1) 데이터 베이스 설계의 종류 (1)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실제로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와는 독립적으로 정보 사용의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 조직체의 엔티티, 관계, 프로세스, 무결성 제약조건 등을 나타내는 추상화 모델을 구축한다. 엔티티: 서로 구분되면서 조직체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내려는 객체(사람, 장소, 사물 등등) 관계: 두 개 이상의 엔티티들 간의 연관 프로세스: 관련된 활동 무결성 제약조건: 데이터의 정확성과 비즈니스 규칙 특정 데이터 모델과 독립적으로 응용 세계를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조나 스키마를 하향식으로 개발할 수 있기 위한 틀(framework)을 제공 엔티티 관계 데이터 모델이 가장 인..
2022.12.13 -
데이터 베이스(6), DML, 트리거와 주장
DML, 트리거와 주장 1. DML 1) INSERT 문 INTO 다음에 삽입하는 릴레이션을 넣을 수 있는데, 이때 선택적으로 애트리뷰트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삽입되는 값은 튜플 형식으로 주는데 이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를 하는 것이다. 이를 명시하지 않으면 create table을 했을 때 주어진 애트리뷰트의 순서대로 처리한다. 오라클의 옛날 버전에서는 empty string을 null 값으로 줬지만 이를 구분하는 것이 맞다. null: ^ SELECT 문을 INSERT 문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SELECT를 통해 추출한 튜플들을 삽입하는 명령어가 된다. 이때 SELECT를 사용해서 INSERT를 하는 경우에는 어트리뷰트의 도메인이 동일해야한다. 따라서 이는 SAME이 아닌 COMPATIB..
2022.10.21 -
우아한 테코톡(13), 트랜잭션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샐리님의 트랜잭션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트랜잭션의 개념과 특징, 속성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트랜잭션 Q.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날릴 때 결과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트랜잭션을 조작함으로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완전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랜잭션이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가장 작은 하나의 단위 모든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 지원하는데 하나의 명령을 실행했을 때 데이터 베이스가 온전히 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젝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명령을 끝마칠 때가지 수행내역을 로그에 반영한다.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된 내용을 재반영하기 위한 redo log와 수행을 실패해 이전 상태로..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