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공식문서(2)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13), Bean
늦어도 한참 늦은 것 같은 Bean 정리이다. ㅋㅋㅋㅋ 순서로 따지면 한참 이전에 진행했어야했지만 이제야 정리를 한다. 사실 Bean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Bean을 정리하지 않고 공식문서 뿌수기 시리즈를 한다는 것이 말이 안되기 때문에 늦게나마 Bean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Bean Spring의 IoC container는 하나 이상의 빈들을 관리한다. 이러한 빈들은 configuration metadata와 함께 생성이 된다. 이러한 빈은 자바 코드로도 구성할 수 있고 XML로도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에서 빈을 관리할 때는 다음과 같은 BeanDefinition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Dependency Injection과 Scope를 중심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빈 이름 짓기 등등에 대..
2023.05.10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8), Model
이번에는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Model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Model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WebDataBinder를 통해서 request 받은 값을 객체로 바인딩할 수 있다. @ControllerAdvi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컨트롤러 또한 @ModelAttribute를 사용할 수 있다.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메서드는 @ModelAttribute나 request body와 연관된 어노테이션을 제외한 @RequestMapping에서 사용하는 메서드들을 지원한다. request body와 관련되었다는 것은 아마 @RequestBody와 같이 Jacks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을 의미하는게 아닐까싶다. 아래 예시는 ..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