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빈(2)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13), Bean
늦어도 한참 늦은 것 같은 Bean 정리이다. ㅋㅋㅋㅋ 순서로 따지면 한참 이전에 진행했어야했지만 이제야 정리를 한다. 사실 Bean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Bean을 정리하지 않고 공식문서 뿌수기 시리즈를 한다는 것이 말이 안되기 때문에 늦게나마 Bean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Bean Spring의 IoC container는 하나 이상의 빈들을 관리한다. 이러한 빈들은 configuration metadata와 함께 생성이 된다. 이러한 빈은 자바 코드로도 구성할 수 있고 XML로도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에서 빈을 관리할 때는 다음과 같은 BeanDefinition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Dependency Injection과 Scope를 중심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빈 이름 짓기 등등에 대..
2023.05.10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지난주 금요일 우테코 레벨 2 피드백 강의 시간에 브리가 각 미션마다 크루들이 공부했으면 하는 커리큘럼에 대해 알려줬다. 그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스프링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MVC의 Annotated Controller를 먼저 정리해보면서 공부하려 한다. Spring MVC 우선 스프링의 웹 MVC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자. Spring Web MVC는 Servlet API를 기반으로 구축된 최초의 웹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Servlet은 이전 포스팅에도 올렸듯이 Java EE에 포함되어있던 기존의 기능 중 하나였는데 스프링이 이를 그대로 반영했다고 알고 있다. Servlet이 무엇인지 아직은 정확히 모르지만 차근차근 공부를 해가야겠다. 아무튼 Spring Web MVC는 웹 프레임..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