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수열(2)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개념 정리(탑다운(메모이제이션)/ 바텀업 시간복잡도 / 파이썬 구현)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강의 내용 : https://www.youtube.com/watch?v=5Lu34WIx2Us 1. 개념 -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행 시간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 - 이미 계산된 결과(작은 문제)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여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한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탑 다운과 바텀 업)으로 구성된다. - 동적 계획법이라고도 부른다. - 점화식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한다. * 점화식: 인접한 항들 사이의 관계식 * 점화식은 프로그래밍에서 재귀함수를 사용하면 구할 수 있다. * 수열은 배열이나 리스트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다. cf)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동적이라고 이야기하는 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ex) 자료구조에..
2021.07.09 -
백준 온라인 저널, 구현/2747번 : 피보나치 수(파이썬)
문제 정의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45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코드 n = int(input()) # n = 10 FS = [0, 1] if n >= 2: fo..
202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