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17. 22:45ㆍ강의 내용 정리/자료구조
ADTs Unsorted List and Sorted List
자료구조
멤버변수와 멤버함수로 나눠서 내부적으로 특정한 연산을 통해 어떤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1. 추상화 자료형
1) ADT 개념
- 구현과의 의존성이 없이 데이터의 특징을 정의하는것이다.
- 슈도코드와 같이 문법적인 제한이 없이 흐름도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 데이터의 특징: 영역과 연산
2) 데이터의 세가지 레벨
응용 레벨 -> 논리 레벨 -> 구현 레벨
(1) 응용 레벨: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료의 레벨, 정보가 모여있는 곳
(2) 논리 레벨: 자료의 범위와 연산의 추상적인 관점
(3) 구현 레벨: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의 표현명세 및 연산을 위한 코딩
3) ADT 연산자
-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론이기에 굳이 분류를 해가며 외우기보단 구현하고자하는 멤버함수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2. List
1) List 개념
- 요소들 사이에 선형 관계가 있는 동질 요소의 모음으로 요소들은 서로 관계가 있다.
- 각 목록 요소(첫번째는 제외)는 고유한 선행작업이 있고, 각 요소(마지막 제외)에는 고유한 후속 작업이 있다.
- 각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있다.
- 자동차와 바퀴는 포함관계(include)이고 has a relationship이다. 자료구조에서는 노드 클래스가 이에 해당한다.
2) 정렬이 되어있는 리스트와 정렬이 되어있지 않은 리스트
(1) 정렬이 되어있는 리스트
- 정렬이 되어있는 리스트란 내부의 자료가 정렬되어있는 것을 보장한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 크기의 대소관계가 비교 가능해야한다. 문자열의 경우에는 사전순으로 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를 위한 고유한 키 값을 가지고 있어야지 정렬할 수 있다. 배열의 크기가 작아도 되는 경우에는 중복되는 값이 키 값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cf) 키 값이 중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름을 가지고 정렬하지 않는다.
(2) 정렬이 되어있지 않은 리스트
- 정렬되어있는 리스트에 비해 삽입, 삭제 등에 대한 연산 속도가 더 빠르다.
- Unsorted List에서 값을 검색할 때는 순차 검색을 함
3. ADT Unsorted list 구현
1) ADT Unsorted List 연산
(1) Transformers
멤버를 변경한다. (Change state)
- MakeEmpty
- InsertItem: 함수 내부나 외부에서 isFull을 사용해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 DeleteItem
cf) DeleteItem 방법
- 인덱스는 배열의 크기보다 작아야한다.
i-1) 배열이기에 이미 지정된 메모리 공간을 해제할 수 없기에 값을 삭제할 때 가장 마지막에 있는 원소를 집어넣고 길이를 줄임 -> 만약 빈 문자열을 넣는 등의 동작을 하면 retrieve 함수의 호출이 어렵다. 단, i-2와 같이 빈 문자열을 넣는 경우가 좋을 수도 있다.
i-2) 하나의 레코드 크기가 엄청난다면 복사를 하는 것이 과부화걸릴 수 있음. 이때는 요소를 삭제할 때 요소의 빈문자열을 넣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음.
(2) Observers
멤버를 관찰하고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Observe state)
- IsFull
- Lengthis
- RetrieveItem: 내부에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3) Iterators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요소들에 대해 관리하는 것 (Process all)
- ResetList: 포인터를 처음으로 가리키게 한다.
- GetNextItem: 외부에서 요소에 접근할 때 이에 접근하게끔하고자 함수로 구현했다. isFull을 체크해야한다.
(4) 각 멤버 함수 정의 시 주의 사항
- InsertItem에서는 length보다 작은 경우에만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해야한다.
- DeleteItem에서는 ppt내의 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location이 length보다 작다면 동작하게끔 하도록 해야한다.
2) ItemType 클래스
(1) Generic data type
- 템플릿을 사용하면 내부 데이터가 정수형이 아니라 다른 타입인 경우에는 정렬하는 기준을 다르게 할 수 있음
ex) 템플릿(template): 조작은 정의했지만 데이터 타입은 정의하지 않음
- enum은 상수를 나열해서 switch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 유지보수가 쉽게끔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생성자
- List에 포함관계로 들어가있기 때문에 기본 생성자로 정의되어야한다.
3) Unsorted list 구현 실습
(1) 전처리
- 컴파일 전에 문서에 적용하는 명령들을 전처리 명령이라 한다.(#을 사용하는 것)
- #pragma once는 비주얼스튜디오에서만 사용하지만 헤더파일을 포함시킬 때 굉장히 편리하다.
- #include는 컴파일 직전에 헤더파일의 내용을 모두 복사 붙여넣기하고, #define하는 경우에는 상수로 지정한 이름에 가서 상수로 다 바꾼다.
cf) #define을 사용하면 식별자로 지정한 곳으로 가서 상수 숫자가 대치된다. 이에 따라 #define을 사용해 상수로 지정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 중괄호 연산으로 묶어서 진행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i) 상수로 지정한 이름으로 가서 조작을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디버깅 시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
(2) C++ 문자열
- char *는 cout에서 문자열로 인식해서 null 문자를 만날 때까지 계속 출력이된다. 이때 문자만 전달할 경우에는 null이 없기에 쓰레기 값이 계속 찍힌다. 이때 문자열을 전달한 경우에는 출력이 잘 된다.
ex) char *str, b[] = "b"; str = b; // b는 캐릭터 배열이기에 이를 할당하면 배열의 첫 주소가 전달된다.
- c style string로 문자열을 만들 경우에는 가장 뒤에 널 문자가 존재해서 이를 cout에서 전달해줘도 가능하다.
(3) 비주얼 스튜디오
i) 디버그관련 단축키
- F5: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빌드 방법
cf) Ctrl + F5는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확인할 수 없다.
- 호출스택: F5를 눌러서 빌드했을 때 오류가 발생하면 호출 스택을 확인하여 이를 체크할 수 있다.
- F10: break point가 발생했을 때 멈춘 뒤 한줄한줄 확인가능하다.
- F11: break point에서 함수가 나타났을 때 함수 내부도 확인 가능하다.
- 조사식: 현재 변수들에 대한 값과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 동적할당을 사용할 때 디버깅을 하면 보이지 않기에 이름부분에 '이름, size'를 적어서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숫자를 더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 break point의 우클릭: 조건을 걸 수 있어서 조건문을 사용할 때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ii) 코드작성관련 단축키
- Ctrl + k 후 c: 드래그한 부분을 주석처리한다.
- Ctrl + k 후 u: 드래그한 부분의 주석을 없앤다.
- Ctrl + space: 자동완성을 켤 수 있다.
4. ADT sorted list 구현
1) Unsorted list와는 다른 주의 사항
Unsorted list와는 insertItem와 DeleteItem, RetrieveItem을 다르게 정의해야한다.
(1) InsertItem
리스트가 정렬되게끔 데이터를 삽입해야한다.
ex) 교재에서 2번째 동작의 경우 데이터 연산이 훨씬 많이 필요하다.
- 링크드 리스트의 경우에는 괜찮지만 배열 형태이기에 레코드의 크기에 따라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ex) 삽입할 위치 뒤 쪽에 위치한 데이터를 모두 뒤로 하나씩 미룰 경우 오버헤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2) DeleteItem
리스트가 정렬되게끔 데이터를 삭제해야함
- 뒤에서부터 데이터를 삭제한 위치까지 데이터를 하나씩 앞으로 옮겨주면 된다. 이 경우에는 삭제에 대한 연산을 할 필요가 없다.
(3) RetrieveItem
정렬되어있는 자료구조에선 이진탐색을 할 수 있기에 이를 개선할 수 있다.
- 이진탐색을 통해 검색에 대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5. 빅오 표기법
1) 복잡도 개념
- 함수 규모의 순서(order of magnitude)는 문제의 컴퓨팅 시간을 문제의 크기에 비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함수의 용어의 표현이다.
- 빅오 표기법은 최소 해당 방정식의 시간만큼 걸린다는 의미이다. (점근적 상한)
- n이 무수히 많아진다고 가정하면 n에 곱해진 것이 얼마든지 간에 n에 대한 최고차항만 반영한다.
- 항상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여 연산 시간을 고려한다.
- 알고리즘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
2) 계산 복잡도
(1) 시간 복잡도: 연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가
- 입력되는 레코드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다.
- 이때 레코드의 개수는 매우 큰 것을 가정으로 한다.
- 기준이 될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내용에 대한 단위 연산이 필요하다.
- 단위 연산은 n에 대한 방정식 형태로 나온다.
- 입력되는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단위 연산을 몇번 수행하느냐에 따라 시간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ex) 순차 탐색과 이진 탐색의 경우 정렬하고자하는 키 값을 비교하는 것을 단위 연산으로 잡는다.
(2) 공간 복잡도: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
- 입력되는 레코드의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 이때 레코드의 크기는 매우 큰 것을 가정으로 한다.
- 하드웨어를 조금 더 보강하면 공간 복잡도는 해결할 수 있다.
=> 빅오 표기법은 일반적으로 시간 복잡도를 기준으로 얘기한다.
3) 빅오 표기법
O(1): n의 개수와 상관없이 동일한 연산 시간
O(log2N)
O(N)
O(N*log2N)
O(N^2)
O(2^n): 2의 n승 형태로 복잡도를 가질수밖에 없는 문제는 효율성을 고려해서 비교적 빠르게 해결한다.
4) 문제가 2의 n승 형태일 때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 정확률이 매우 높은 것을 빠른 수행 시간동안 해결해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휴리스틱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5) 리스트의 빅오 비교표
'강의 내용 정리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6), Linked Structured (0) | 2022.05.02 |
---|---|
자료구조 (5), Stack and Queue (0) | 2022.04.19 |
자료구조 (3) 데이터 디자인과 구현 (0) | 2022.03.17 |
자료구조 (2) 소프트웨어 공학 원리 (0) | 2022.03.17 |
자료구조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