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컴퓨터 이론(15)
-
우아한테코톡(8), Process vs Thread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쿼리치님의 Process vs Thread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간단한 정의 및 특징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쓰레드와 관련된 보다 딥한 내용은 컴퓨터 구조 수업 시간에 수강한 멀티쓰레드 파트를 복습하면 좋을 것 같다. 2022.06.13 - [강의 내용 정리/컴퓨터구조] - 컴퓨터 구조(11), Multithreading 컴퓨터 구조(11), Multithreading Multithreading 1. Multithreading Basic - thread: state한 명령어 스트림. state은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있다. 쉽게 생각해서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 쓰레드 컨텍스트는 레지스터에 있는 state를 의미한다.. konghana01...
2022.08.22 -
우아한 테코톡(7), 상속과 조합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클레이님의 상속과 조합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상속과 조합의 특징 및 문제점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상속과 조합 1. 상속의 문제 1) 상속이란? 기존에 정의되어있는 클래스의 필드, 메소드를 물려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하는 기법 2) 상속의 장점 (1) 중복 코드를 제거하고 기능 확장을 쉽게 할 수 있다. (2) 클래스들의 계층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3) 상속의 문제점 (1)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구현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위 클래스가 변경될 경우 취약하다. 즉, 상속은 부모 클래스와 강하게 의존하고, 부모 클래스의 캡슐화를 해치며 결합도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모 클래스의 구현을 변경하면 많은 자식 클래스를 모두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2022.08.18 -
우아한 테코톡(6), Node.js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유세지님의 Node.js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Node.js의 간단한 특징과 내부 구조 등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Node.js Node.js란?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키는 런타임 환경 cf) 자바의 JRE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Node.js의 등장 배경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 종속적이었다. 이렇게 실행될 경우에는 속도가 느렸다. 이때 구글에서는 V8 엔진을 크롬 브라우저에 탑재해 이를 출시했다. 크롬브라우저는 빠르게 자바스크립트를 처리할 수 있게 됐고, V8 엔진 또한 오픈소스로 공개가 되었다. 라이언 달은 V8 엔진을 기반으로 해 Node.js를 출시했다. Node.js의 첫번째 특징 비동기 이벤트 주도 JavaScript 런타임으로써 Node.js는 확장성..
2022.08.15 -
우아한 테코톡 (5), API vs Library vs Framework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티버님의 API vs Library vs Framework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API, Library, Framework의 간단한 특징과 차이점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API vs Library vs Framework 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 API란? 응용 프로그램에서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2) 예시 - Google의 지도 서비스와 맛집 공유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맛집 찾기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이때 Google 지도 API의 정해진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요청하면 지도에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3) 특징..
2022.08.11 -
우아한 테코톡(4), Flux Architecture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우디님의 Flux Architecture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Flux Architecture의 컨셉과 개념, 과정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잘 설명된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Flux Architecture 1. Flux가 왜 필요할까? 1) Flux란?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통해 예측가능하게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사이드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2) 웹 어플리케이션의 흐름 과거 웹 어플리케이션은 문서 열람에 그쳤지만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동적인 상태 조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코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유지보수가 어렵게 됐다. 이를 위해 디자인 패턴과 프레임워크가 등장했다. 2. MVC의 한계 1) MVC란? Model, View, Contro..
2022.08.10 -
우아한 테코톡 (3), Web Server vs WAS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알리님과 희봉님의 Web Server vs WAS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Web Server와 WAS의 간단한 특징과 차이점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Web Server vs WAS 1. Web Server 1) Web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하나로 정보를 공유, 검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 - Web의 3가지 요소: URL, HTTP, HTML 2) Server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3) Web Server 인터넷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4)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의 관점 클라이언트: 주소(URL)를 가지고 통신규칙(HTTP)에 맞게 웹서버에 요청하면 내용(HTML)을 받을..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