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내용 정리/데이터베이스(14)
-
데이터베이스(2), 관계 데이터 모델과 제약조건
관계 데이터 모델과 제약조건 1. 관계 데이터 모형의 개념 1) 관계 데이터 모델이란? 가장 개념이 단순한 데이터 모델 중 하나로 테이블 형태로 DB를 표현하는 모델이다. System R은 판매용이 아닌 시제품으로 등장했고, 이후 여러 데이터 모델들이 등장했지만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DBMS이다. 동일한 구조(릴레이션)의 관점에서 모든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릴레이션을 사용해 논리적으로 구조를 정의한다. 기존 데이터 모델의 단점은 링크나 포인터를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관계 데이터 모델은 대신 외래키를 사용해 서로 다른 릴레이션의 객체를 표현한다. 선언적인 질의어를 통해 데이터 접근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명시하고, 어떻게 이 데이터를 찾을 것인가는 명시할 필요가 없다. ..
2022.10.15 -
데이터 베이스(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요 1) Relational DBMS(RDBMS)의 종류 MySQL: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PostgreSQL: 조직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MariaDB: MySQL이 유료화로 되자 이와 유사한 MariaDB가 나왔다. MS SQL Server IBM DB2 Tibero: Tmax Soft에서 만들었다. Cubrid MongoDB: 문서나 파일을 저장관리하기에 좋다. cf) NoSQL는 Not only SQL의 약자로 SQL과 더불어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군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산업계의 표준으로서 RDBMS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Big data가 대두되며 테이블형태만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어려워졌고, 이에 ..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