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내용 정리/풀스택서비스네트워킹(11)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6), HTTP/1.1
HTTP/1.1 1. HTTP/1.1의 이해 1) Web Client and Web Server 서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HTTP이다.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서버는 response를 보낸다. (1) Resources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고 서버가 제공하는 자료 Static content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이미 자료가 있는 경우 Dynamic content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자료를 생성하는 경우 문제) Youtube 채널에서 동영상을 보는 경우 이는 Static인가 Dynamic인가? 동영상 파일 또한 이미 만들어진 자료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이는 Static이다. 문제) 주주가 본인의 주식 가격을 요청하는 경우 이는 Static인가 Dynamic인가?..
2022.10.18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5), ZeroMQ
ZeroMQ 1. 프로토콜의 위치 과거에는 운영체제 내부에 인터넷 프로토콜이 들어가있었지만 지금은 어플리케이션에 인터넷 프로토콜이 들어가있다. 이에 따라 성능이나 개발 및 발전 용이성에서 매우 유리해졌다. 쓰레드 간 통신은 메모리를 통해 이뤄진다. 진짜 파일은 보조기억장치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굉장히 느리다. memory map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통신에서 사용한 기능을 지원한다. TCP/IP, Memory map 등등을 지원한다. 1) 전통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transport layer나 network layer가 OS 안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ocket API는 Kernel과 응용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고리가 되었다. POSIX 계열의 운영체제는 소켓..
2022.10.13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크(4), Socket
Socket 1. Socket & Socket API의 이해 1) Network Socket이란? 내부의 엔드포인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위 Socket Programming은 TCP/IP Networks에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기반이 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소켓 연결은 두 개의 다른 컴퓨터들 간에 이뤄질 수 있다. 2) Client and Server Architecture (1) Socket Server 소켓을 전송받는 서버 (2) Client 소켓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3) Berkeley Socket API Socket API는 다른 컴퓨터와의 메세지를 주고받기위해 사용하는 API이다. cf) API는 요구 하는 것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개념이다. (1) Berkeley Socket API F..
2022.10.11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3), OSI Architecture(L4)
OSI Architecture(L4) 1. Transport 계층의 이해 1) 개념 (1) Process-to-Process Delivery 웹서버와 웹브라우저간의 속도 제어를 위한 흐름제어나 에러 검출을 하는 것이 Transport 계층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행동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어디로 가야하는 지에 대한 '주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1~2계층에서 바로 옆에 인접한 기기들과의 통신은 node-to-node 통신이라 할 수 있다. 멀리 떨어져있고, 중간에 여러 개의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host-to-host 통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팅이 중요했던 3계층에서는 host-to-host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4계층에서는 한 컴퓨터에서의 프로그램의 주소값인 포트 ..
2022.10.07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크(2), OSI Architecture(L1~L3)
OSI Architecture의 대표적인 예시를 알아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위주로 수업을 진행할 예정 1. 기본적인 단어의 이해 (1) Message Medium을 통해 sender와 receiver가 주고 받는 것 (2) Sender 보내는 컴퓨터 (3) Receiver 받는 컴퓨터 (4) Medium 통신을 위한 매개(유무선) (5) Protocol 서로 메세지를 보낼 때 지켜야할 약속으로 메세지에 대한 형식 뿐만 아니라 메세지를 받았을 때의 동작 등등 자세하게 기술해놓는다. 2. MAC 계층(L2) 1) 분류 Random access protocols Controlled access protocols channelization protocols 랜덤엑세스 프로토콜은 서버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
2022.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