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8)
-
데이터 베이스(3), 관계 대수와 SQL
관계 대수와 SQL 1. 관계 대수 1)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지원되는 두 가지 정형적인 언어 (1) 관계 해석 원하는 데이터만 명시하고 질의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는 명시하지 않는 선언적인 언어로 이는 집합에서의 조건제시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ex) {n | n is even, n in R}, {t[name] | t는 EMP에 포함된다.} (2) 관계 대수 어떻게 질의를 수행할 것인가를 명시하는 절차적인 언어로 연산을 어떤 순서로 작성할 것인지 명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sql을 처리할 때는 질의어를 관계 대수로 전환해서 처리하게 된다. cf) SQL DBMS의 사실상 표준 질의어 상용 관계 DBMS들의 사실상의 표준 질의어인 SQL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2) 관계 대수..
2022.10.19 -
데이터 베이스(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요 1) Relational DBMS(RDBMS)의 종류 MySQL: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PostgreSQL: 조직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MariaDB: MySQL이 유료화로 되자 이와 유사한 MariaDB가 나왔다. MS SQL Server IBM DB2 Tibero: Tmax Soft에서 만들었다. Cubrid MongoDB: 문서나 파일을 저장관리하기에 좋다. cf) NoSQL는 Not only SQL의 약자로 SQL과 더불어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군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산업계의 표준으로서 RDBMS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Big data가 대두되며 테이블형태만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어려워졌고, 이에 ..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