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 쓰레딩(2)
-
우아한테코톡(8), Process vs Thread
본 포스팅은 우아한Tech의 테코톡 쿼리치님의 Process vs Thread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간단한 정의 및 특징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쓰레드와 관련된 보다 딥한 내용은 컴퓨터 구조 수업 시간에 수강한 멀티쓰레드 파트를 복습하면 좋을 것 같다. 2022.06.13 - [강의 내용 정리/컴퓨터구조] - 컴퓨터 구조(11), Multithreading 컴퓨터 구조(11), Multithreading Multithreading 1. Multithreading Basic - thread: state한 명령어 스트림. state은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있다. 쉽게 생각해서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 쓰레드 컨텍스트는 레지스터에 있는 state를 의미한다.. konghana01...
2022.08.22 -
컴퓨터 구조(11), Multithreading
Multithreading 1. Multithreading Basic - thread: state한 명령어 스트림. state은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있다. 쉽게 생각해서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 쓰레드 컨텍스트는 레지스터에 있는 state를 의미한다. - 그동안은 하나의 쓰레드에서의 동작 처리 방식을 배웠다. - 매우 많은 쓰레드가 처리해서 시스템 성능을 올릴 수 있다. -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도 여러 쓰레드가 있기도 하다. - 포탈 사이트에 접속하면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쓰레드를 배정해준다. 로컬 컴퓨터에서는 각각의 프로그램으로 이해하면 쉽다. - 프로세서는 쓰레드의 컨텍스트를 명령어를 통해 업데이트해준다. - 레지스터의 개수가 제한되어있기에 쓰레드의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하고 내리고 하는 것을 ..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