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개발(2)
-
이코테 2021, BFS 개념 정리 (파이썬)
BFS - 너비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 그래프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 큐 자료구조를 사용한다. BFS의 동작과정 0. 그래프를 준비한다. (해당 강의에서는 번호가 낮은 인접 노드 순으로 방문하는 기준을 세움) 1.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한다. 2. 큐에서 노드를 꺼낸 뒤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한다. 3. 더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코드 - 위의 그래프를 다음과 같이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2차원 리스트 graph = [ [], [2, 3, 8], [1, 7], [1, 4, 5], [3, 5], [3, 4],..
2021.06.05 -
백준 온라인 저널, 그리디 알고리즘/1541번 : 잃어버린 괄호(파이썬)
문제 정의 세준이는 양수와 +, -, 그리고 괄호를 가지고 식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서 세준이는 괄호를 모두 지웠다. 그리고 나서 세준이는 괄호를 적절히 쳐서 이 식의 값을 최소로 만들려고 한다. 괄호를 적절히 쳐서 이 식의 값을 최소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식이 주어진다. 식은 ‘0’~‘9’, ‘+’, 그리고 ‘-’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장 처음과 마지막 문자는 숫자이다. 그리고 연속해서 두 개 이상의 연산자가 나타나지 않고, 5자리보다 많이 연속되는 숫자는 없다.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식의 길이는 5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정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5-50+40 예제 출력 1 -35 접근 방법 0. 값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로..
202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