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4)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10), QUIC & HTTP/3
QUIC & HTTP/3 게임 서버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인터렉티브하게 계산해서 처리하는 게 많기 때문에 지연시간이 짧은 것도 중요하고, 틱을 일정하게 처리하는 것(지터)도 중요하다. 메타버스 컨텐츠에서 그래픽의 퀄리티를 줄이는 것은 딜레이가 발생하면 멀미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된다. 현재 논문에서 보면 게임은 네트워크에 대한 지연시간보단 정보가 일정한 시간동안 전달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는 게임을 하기엔 HTTP 1와 HTTP 2보단 HTTP 3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QUIC의 특징 지연을 줄이고자 한다. HTTP 2가 찢어져서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나눠진다. TCP가 아닌 UDP를 사용한다. 구글의 크롤링 작업은 HT..
2022.12.12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크(4), Socket
Socket 1. Socket & Socket API의 이해 1) Network Socket이란? 내부의 엔드포인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위 Socket Programming은 TCP/IP Networks에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기반이 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소켓 연결은 두 개의 다른 컴퓨터들 간에 이뤄질 수 있다. 2) Client and Server Architecture (1) Socket Server 소켓을 전송받는 서버 (2) Client 소켓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3) Berkeley Socket API Socket API는 다른 컴퓨터와의 메세지를 주고받기위해 사용하는 API이다. cf) API는 요구 하는 것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개념이다. (1) Berkeley Socket API F..
2022.10.11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3), OSI Architecture(L4)
OSI Architecture(L4) 1. Transport 계층의 이해 1) 개념 (1) Process-to-Process Delivery 웹서버와 웹브라우저간의 속도 제어를 위한 흐름제어나 에러 검출을 하는 것이 Transport 계층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행동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어디로 가야하는 지에 대한 '주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1~2계층에서 바로 옆에 인접한 기기들과의 통신은 node-to-node 통신이라 할 수 있다. 멀리 떨어져있고, 중간에 여러 개의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host-to-host 통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팅이 중요했던 3계층에서는 host-to-host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4계층에서는 한 컴퓨터에서의 프로그램의 주소값인 포트 ..
2022.10.07 -
컴퓨터 네트워크 (7), Transport layer 1
Transport layer 1 TCP/UDP를 중심으로 설명 1. Transport layer basic Process to Process Delivery - Physical layer와 Data link layer는 두 장치의 송수신을 배움 -> node to node 전송 - 통신 장비가 매우 많아지면 network layer로 했다. -> host to host 전송 1) Process-to-Process Delivery - 앞서 4계층인 경우에는 컴퓨터 안에 있고, 어느 프로그램 중에 어느 프로그램이 목적지인지, 소스인지 확인하는 작업을 주로 한다. 그림을 보면 컴퓨터 내부에 있는 프로그램 중 소스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오른쪽의 프로그램 중에 데스티네이션이 있다. - host 내부에 있는 어느 프로..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