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356)
-
백준 온라인 저널, 그리디 알고리즘, 자료 구조, 우선순위 큐/1715번 : 카드 정렬하기(파이썬) / 골드 문제
문제 정의 정렬된 두 묶음의 숫자 카드가 있다고 하자. 각 묶음의 카드의 수를 A, B라 하면 보통 두 묶음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데에는 A+B 번의 비교를 해야 한다. 이를테면, 20장의 숫자 카드 묶음과 30장의 숫자 카드 묶음을 합치려면 5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매우 많은 숫자 카드 묶음이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이들을 두 묶음씩 골라 서로 합쳐나간다면, 고르는 순서에 따라서 비교 횟수가 매우 달라진다. 예를 들어 10장, 20장, 40장의 묶음이 있다면 10장과 20장을 합친 뒤, 합친 30장 묶음과 40장을 합친다면 (10 + 20) + (30 + 40) = 10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그러나 10장과 40장을 합친 뒤, 합친 50장 묶음과 20장을 합친다면 (10 + 40) + (50 + ..
2021.06.12 -
백준 온라인 저널, 구현/2751번 : 수 정렬하기 2(파이썬)
문제 정의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숫자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4 3 2 1 예제 출력 1 1 2 3 4 5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array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n)].sort() for x in array: print(x)
2021.06.12 -
백준 온라인 저널, 그리디 알고리즘/1789번 : 수들의 합(파이썬)
문제 정의 서로 다른 N개의 자연수의 합이 S라고 한다. S를 알 때, 자연수 N의 최댓값은 얼마일까?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S(1 ≤ S ≤ 4,294,967,295)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자연수 N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00 예제 출력 1 19 - 최대한 많은 자연수를 사용해 S를 만들기 위해선 서로 다른 자연수들이 최소가 되어야한다. 1+2+3+4 = 10이다. 1+2+3+5 = 11이다. 1+2+4+5 = 12이다. 1+3+4+5 = 13이다. 2+3+4+5 = 14이다. 1+2+3+4+5 = 15이다. => 따라서 i가 1부터 N까지일 때 ∑K = X인 경우에, K는 X
2021.06.12 -
이코테 2021, 그리디 알고리즘 / 곱하기 혹은 더하기 (파이썬)
문제 정의 각 자리가 숫자(0부터 9)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모든 숫자를 확인하며 숫자 사이에 'x' 혹은 '+' 연산자를 넣어 결과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보다 x를 먼저 계산하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달리, 모든 연산은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02984라는 문자열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0 + 2) x 9) x 8) x 4) = 576입니다. 또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항상 20억 이하의 정수가 되도록 입력이 주어집니다. 입력 첫째 줄에 여러 개의 숫자로 구성된 하나의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1
2021.06.11 -
이코테 2021, 구현 / 문자열 재정렬 (파이썬)
문제 정의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0 ~ 9)로만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이때 모든 알파벳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이어서 출련한 뒤에, 그 뒤에 모든 숫자를 더한 값을 이어서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K1KA5CB7이라는 값이 들어오면 ABCKK13을 출력합니다. 입력 첫째 줄에 하나의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1
2021.06.11 -
백준 온라인 저널, 구현/14503번 : 로봇 청소기(파이썬) / 골드 문제
문제 정의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왼쪽 방향에..
202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