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프링(16)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10), DispatcherServlet - handler 실습
지난 포스팅에서 HandlerMapping부터 handler에 값을 전달하는 것까지 대충 눈으로 확인해봤다. 그런데, 솔직히 이해가 잘 안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드로 한번 작성해보면서 이를 확인해보려고 한다. DispatcherServlet handler 지난 포스팅에서 요약했던 내용을 한번 들고와 보자. 서블릿은 요청에 대해서 응답을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서블릿 컨테이너(혹은 웹 컨테이너)는 여러 개의 서블릿을 가지고 있어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에 맞는 서블릿을 동작시킨다. 여러 개의 서블릿 중에서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서블릿은 dispatcherServlet이다. 가장 먼저 외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Servlet은 그 요청에 맞는 handler를 매핑한다. 기본적으로 ..
2023.05.06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9), DispatcherServlet - 동작 과정
일주일동안 푹 쉬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해야지 마음을 먹으면서도 웹 자동차 경주 미션 이후로 미션 기간에는 미션에만 집중하자!라는 생각으로 이번주는 미션만 했었다.(조금 놀기도 하고) 그래서 공식문서를 읽으며 공부하는게 조금 늦어졌다. ㅎㅎ 이번에는 DispatcherServlet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사실 스프링 스터디를 진행 중인데 이번에 맡은 파트는 MVC Config 였지만 그 전에 DispatcherServlet에 대해 정리하면 학습에 더 도움이 될 것 같아 이렇게 먼저 정리하고자 한다. DispatcherServlet ... 딱 봐도 내용이 많다. 실제로 공식문서 들어가서 보면 내용이 정말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뭐 이 시간에 다 아는 것을 목표로 하지 말고 가볍게 동작 원리에..
2023.05.06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8), Model
이번에는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Model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Model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WebDataBinder를 통해서 request 받은 값을 객체로 바인딩할 수 있다. @ControllerAdvi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컨트롤러 또한 @ModelAttribute를 사용할 수 있다.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메서드는 @ModelAttribute나 request body와 연관된 어노테이션을 제외한 @RequestMapping에서 사용하는 메서드들을 지원한다. request body와 관련되었다는 것은 아마 @RequestBody와 같이 Jacks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을 의미하는게 아닐까싶다. 아래 예시는 ..
2023.04.27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7), Hanlder Methods - 데이터 바인딩 과정
5, 6번 시리즈는 잠깐 빠져서 IoC Container에 대해 포스팅했다. 이번에는 다시 돌아와서 Annotated Controller의 Handler Methods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진작 했어야했는데~~) Handler Methods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여러가지 핸들러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Method Arguments 메서드 인자로는 정말 다양한 타입의 인자들이 들어갈 수 있다. 너무 많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링크를 남기도록 하겠다.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web.html#mvc-ann-methods 지금 단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내용들만 먼저 정..
2023.04.26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6), ComponentScan이 뭐야?
이전 포스팅에서 빈을 등록할 때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omponentScan을 사용해서 등록해야한다고 했다. 사실 어노테이션 뿐만이 아니라 Java code로 Configuration을 등록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때에도 ComponentScan을 사용할 수 있다. 2023.04.24 - [자바/스프링]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5), ApplicationContext란? 이번 포스팅에서는 ComponentSca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공식 문서 상에서도 내용이 그리 많지 않아서 아마 짧은 글이 되지 않을까싶다. ComponentScan 우선 ComponentScan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언제나 그랬듯이 문서부터 먼저 확인해보자. 이는 Component..
2023.04.25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5), ApplicationContext란?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 시리즈를 하고 있던 중 Annotated Controller 파트 초반에 ApplicationContext와 관련된 내용이 등장했다. 2023.04.17 - [자바/스프링]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지난주 금요일 우테코 레벨 2 피드백 강의 시간에 브리가 각 미션마다 크루들이 공부했으면 하는 커리큘럼에 대해 알려줬다. 그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스프링의 가장 기본적인 konghana01.tistory.com 당시 bean을 ApplicationContext에 등록해서 auto-detect..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