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프링(16)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4),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DataBinder
원래는 중간에 exceptionHandler가 있지만 이전 내용에서 DataBinder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먼저 정리했다. DataBinder DataBinder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Request parameters를 모델에 바인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itBinder는 WebDataBinder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InitBinder 어노테이션을 가진 메서드를 사용한다면 데이터를 모델로 바인딩할 수 있다. @RequestParam이나 @PathVariable,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들은 request로 전달받은 값을 다른 타입으로 바인딩을 해주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WebDataBinder라는 것을 만들어서 전달받은 값을 매핑하게 된다. @InitBind..
2023.04.22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3),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RequestMapping
이전 글에 이어서 Annotated Controllers의 RequestMapping에 대해 본격적으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Request Mapping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은 요청받는 URL 주소를 매핑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는 메서드보다는 Controller 클래스에 직접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url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메서드에는 조금 더 명확하게 이를 표현하기 위해 @GetMapping이나 @PostMapping 어노테이션으로 Http 메서드까지 포함한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RequestMapping: 일반적으로 클래스에 붙인다. @GetMapping, @PostMapping: 메서드에 붙인다. @GetMapping과 @PostMapping은 @R..
2023.04.21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지난주 금요일 우테코 레벨 2 피드백 강의 시간에 브리가 각 미션마다 크루들이 공부했으면 하는 커리큘럼에 대해 알려줬다. 그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스프링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MVC의 Annotated Controller를 먼저 정리해보면서 공부하려 한다. Spring MVC 우선 스프링의 웹 MVC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자. Spring Web MVC는 Servlet API를 기반으로 구축된 최초의 웹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Servlet은 이전 포스팅에도 올렸듯이 Java EE에 포함되어있던 기존의 기능 중 하나였는데 스프링이 이를 그대로 반영했다고 알고 있다. Servlet이 무엇인지 아직은 정확히 모르지만 차근차근 공부를 해가야겠다. 아무튼 Spring Web MVC는 웹 프레임..
2023.04.17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 (1), 아니 그래서 Spring이 뭔데?
우테코 레벨 2부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이번 미션을 진행하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해 잘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공식 문서를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Spring Framework Overview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현재(2023년 04월 14일 기준) 버전은 6.0.8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Java 언어가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 생각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6.0 버전 이후에는 Java 17 이상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는 Java 17로 작업을 진행했는데 11버전만 쓰다가 17버전을 쓰니 Record도 새롭게 등장하고, 프로퍼티 설정 등에도 차이가 나서 이를 관리하기 다소 어려웠다. Spring이 무슨 의미야? The..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