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9)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6), ComponentScan이 뭐야?
이전 포스팅에서 빈을 등록할 때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omponentScan을 사용해서 등록해야한다고 했다. 사실 어노테이션 뿐만이 아니라 Java code로 Configuration을 등록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때에도 ComponentScan을 사용할 수 있다. 2023.04.24 - [자바/스프링]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5), ApplicationContext란? 이번 포스팅에서는 ComponentSca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공식 문서 상에서도 내용이 그리 많지 않아서 아마 짧은 글이 되지 않을까싶다. ComponentScan 우선 ComponentScan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언제나 그랬듯이 문서부터 먼저 확인해보자. 이는 Component..
2023.04.25 -
23년 04월 24일, 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웹 자동차 경주 step 2 미션을 다시 제출하고 리뷰 요청을 보냈다. - Spring ApplicationContext와 ComponentScan에 대해 학습하고 정리했다. 개인 성장 - 오늘 하려고 했던 일들을 모두 했다! - 소켓을 사용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서 책을 읽고 공부했다. 커뮤니티 - 브랜딩 주간 근로 회의에 참여했다. - 네트워크 스터디에 참여했다. - 학습로그 말하기를 수행했다.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흐음... 뭔가 조금 아쉬운 느낌이 든다. 분명 하려고 했던 일들을 모두 마무리했는데, 찝찝한 느낌이 드는건 뭘까? 한 가지 그럴듯한 이유가 생각난다. 우선 스스로 학습해가며 배우는 이 과정이..
2023.04.25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5), ApplicationContext란?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 시리즈를 하고 있던 중 Annotated Controller 파트 초반에 ApplicationContext와 관련된 내용이 등장했다. 2023.04.17 - [자바/스프링]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2),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1 지난주 금요일 우테코 레벨 2 피드백 강의 시간에 브리가 각 미션마다 크루들이 공부했으면 하는 커리큘럼에 대해 알려줬다. 그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스프링의 가장 기본적인 konghana01.tistory.com 당시 bean을 ApplicationContext에 등록해서 auto-detect..
2023.04.24 -
23년 04월 3주차, 일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스프링의 Annotated Controller에 대해 공부했다. - 웹 자동차 경주 step2 미션을 했다. (제출만 ㅎㅎ) - 스프링 ObjectMapper, 직렬화/역직렬화 JsonProperty 등에 대해 공부했다. - MVC 패턴 중 각 계층의 역할에 대해 공부했다. - Spring bean과 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조금 공부했다. -> 다음주에 더 자세히 공부할거다. - 각 계층에 대한 어노테이션의 역할과 동작에 대해 알아봤다. 개인 성장 -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책 중 챕터 1을 공부했다. (웹 요청 및 DNS 서버의 동작과 원리) - 자발적으로 학습을 할 때 공식문서를 보며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고 있다. - 네트..
2023.04.24 -
스프링 공식 문서 뿌수기(4), Spring MVC의 Annotated Controllers - DataBinder
원래는 중간에 exceptionHandler가 있지만 이전 내용에서 DataBinder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먼저 정리했다. DataBinder DataBinder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Request parameters를 모델에 바인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itBinder는 WebDataBinder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InitBinder 어노테이션을 가진 메서드를 사용한다면 데이터를 모델로 바인딩할 수 있다. @RequestParam이나 @PathVariable,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들은 request로 전달받은 값을 다른 타입으로 바인딩을 해주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WebDataBinder라는 것을 만들어서 전달받은 값을 매핑하게 된다. @InitBind..
2023.04.22 -
23년 04월 21일, 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웹 자동차 경주 step 2 미션을 수행하고 제출했다. - Spring Annotated controller 중 RequestMapping 파트와 DataBinder 파트를 공부하고 정리했다. - JDBC 템플릿을 간단하게 알아봤다. - MVC 중 각 계층을 나타내는 어노테이션(@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봤다. - 브리 강의를 들으며 Layered 아키텍처에 대해 조금 찾아봤다. 개인 성장 - 오늘 술을 안마셨다. 영양제도 먹었다. - 네트워크 스터디를 했다. 지하철 출근길에 네트워크 DNS 서버의 동작 원리에 대해 마저 공부했다. - 간단하게 몸풀기 운동을 했다. 짧게 했음에도 예전에 비해서 ..
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