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
-
자료구조 구현 (3), Stack and Queue
Stack and Queue 구현 C++을 통해서 Stack과 Queue를 구현했다. 이전 실습과 마찬가지로 ItemType, Stack(Queue), Application을 세 파트로 나누어 코드를 구현했다. ItemType과 Application은 Unsorted list와 크게 다른 부분이 없기에 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2022.05.11 - [강의 내용 정리/자료구조] - 자료구조 구현 (1), Unsorted list 자료구조 구현 (1), Unsorted list Unsorted list 구현 C++을 통해서 Unsorted list를 구현했다. 특히 ItemType, Unsorted list, Application을 세 파트로 나누어 코드를 구현했다. Unsorted l..
2022.06.30 -
자료구조 (3) 데이터 디자인과 구현
Data design and Implementation 1. 데이터 디자인 1) 자료의 추상화 - 자료의 구현에서 자료 형식의 논리적인 특징을 분리하는 방법 - Logical properties: 흐름도가 만들어져있고, 흐름도를 코드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 - Implementation: 실제 코드를 구현하는 부분 2) 자료의 캡슐화 - 의사코드로 작성이 되어있는 부분을 문법적으로 채워넣는 것 - 논리 레벨에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데이터의 표현을 분리하는 행위 - 코드 작성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와 가까운 형태로 기술을 하면 내부적으로는 컴퓨터가 다룰 수 있는 언어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코드를 작성하는 우리는 컴퓨터가 어떤 식으로 저장되어있는지를 모두 알 필요는 없다. 이는 캡슐화덕분이다. - ..
2022.03.17 -
자료구조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프로그래밍 Remind 1. 객체 지향 언어 Basic 1) 변수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1) 변수명(Identifier) (2) 변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3) 변수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시작 주소: 포인터는 이를 저장하는 변수이다. - 32비트로 동작시킨다. -> 이는 하나의 메모리 주소에 32비트를 전달하는 것이다. -> 속도에 대한 효율을 위해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한번에 불러올 수 있는 크기가 32비트이다. -> 이는 하드웨어가 지원하는 버스 크기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32비트를 가진다. - operation system이 지원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해야한다. 기존 윈도우 xp 운영체제에서는 4G를 제한으로 만들었었다. 이에 따라 2의 32승이 최대였고, 32비트를 기준으로 만들었다..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