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04월 12일, 일일 회고

2023. 4. 12. 22:52회고/일일회고

728x90
반응형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자바 스프링 jdbc에 대해 학습 테스트를 진행했다.

- 스프링 aop에 대해 살짝 알아봤다.

- 우테코 레벨 2 첫 페어 프로그래밍 미션을 수행했다. 웹 api 연동 및 db 연동까지 마무리했다.

- 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을 읽었다.

 

개인 성장

- 아침에 한 시간 동안 스마트폰 안보기

 

커뮤니티

- 에단과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며 많이 친해졌다.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정말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학습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각각 메서드나 템플릿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꾸준히 복습해가며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선 학습 목표대로 '활용 방법을 익히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겠다.

- 중요한 것은 단순히 스프링만 모른다는 느낌보다는 아직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을 작성하는 것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레벨 2 초반까지는 다시 한번 더 복습하면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번아웃 강의를 수강하기 전 회복 탄력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회복 탄력성 수치는 높게 나왔다. 이전에도 회복 탄력성이나 스트레스 검사를 했을 때면 수치가 잘 나와서 예상은 했었는데, 중요한 거는 충동 통제력이다. ㅋㅋㅋㅋㅋ 우리나라 성인 평균보다 충동통제력이 낮은 것 같다. 평소에도 많이 충동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수치로 보니까 충동적인 게 맞는 것 같다.

 

- 오전에 번아웃 강의를 수강했다. 줌에서 드립을 치는 크루들에 동조되어서 자꾸 디엠을 보니까 집중이 많이 안됐다. ㅋㅋㅋㅋ 중요한 강의가 있을 때면 디엠을 끄고 수업을 듣던가 해야겠다.

 

 

Finding (배운 점: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


- 우리가 알게모르게 써왔던 어노테이션 중 하나인 @BeforeEach는 사실 aop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인 것을 새롭게 알았다. aop란 프록시 패턴을 사용해서 기존 메서드를 wrapping해서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라고 느껴졌다. 다소 어렵지만 중요한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어 테코톡 주제로 지원했다.

- 새롭게 알게된 점은 '객체'와 '값'의 차이였다. 값은 식별자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고, 반면 객체는 식별자가 있다. 왜 그런가를 곰곰히 생각해보니, 객체는 상태를 가지고 있어서 각 객체마다 다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객체를 구별해야할 필요가 있기에 식별자를 두는 것 같다. 반면에 값은 불변하기 때문에 굳이 이를 식별자로 구분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값과 객체를 식별자의 유무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책에서 VO(값 객체)는 식별자를 가지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고 한다.

- 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VO 객체는 불변성을 보장하면서 특정한 값을 나타내는 객체이다. 위와 같이 '값'의 입장에서 바라본다면 불변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식별자를 따로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VO를 만들기 위해서 equals와 hashCode를 재정의하는 것도 동일성을 보장해주기 위함임을 알 수 있었다.

 

- 상태를 이용해 두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것은 동등성(equals), 식별자를 이용해 두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것은 동일성(==)이 된다. 자바에서 식별자는 hashCode가 아닐까 싶다.(만약 hashCode를 재정의하지 않으면 메모리 주소값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상태가 가변적인 두 객체의 동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태 변경에 독립적인 별도의 식별자를 이용해야한다. 레벨 1 때도 몇 번 정리했던 내용인데 사실 매번 용어가 헷갈린다. 그래서 한번 더 정리했다.

 

 

Future action (향후 행동: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 꾸준히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모던 자바 인 액션 읽기

- 오늘부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한시간동안 스마트폰 안보기를 실천 중인데 이를 꾸준히 이어갈 것이다!

- 데일리 미팅 때 레벨 2 목표를 말했다. 나는 데일리 미팅 조원들과 '술' 혹은 '커피' 마시기, 미션별로 큼지막한 회고 글 작성하기, 트러블 슈팅 과정을 매번 글로 남기기를 목표로 했다. 꾸준히 지켜나가야겠다.

- 이번주 내에 정말로 Spring 학습 테스트에서 사용한 어노테이션이나 메서드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할 것이다.

 

 

Feedback (피드백: 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


 

스스로에게 한번 피드백을 주자면 그래도 꽤나 열심히 하루를 살았다.

 

개인 공부, 부족한 공부도 조금씩 하고, 삶의 루틴을 아슬아슬하게 잡아가는 것 같다. 요즘 날마다 술을 마시긴 하지만 많이 절제하기도 하고, 한 시가 넘으면 슬슬 잘 준비를 해서 덜 피곤한 영향도 있는 것 같다.

 

이제 막 레벨 2 초반이니까 그런 것도 있을 테니,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이 루틴을 유지해야겠다.

 

728x90
반응형

'회고 > 일일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04월 17일, 일일 회고  (2) 2023.04.17
23년 04월 13일, 일일 회고  (0) 2023.04.13
23년 04월 11일, 일일 회고  (0) 2023.04.11
23년 03월 28일, 일일 회고  (0) 2023.03.29
23년 03월 27일, 일일 회고  (0)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