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테 2021, DFS/음료수 얼려먹기 (파이썬)
2021. 6. 18. 01:57ㆍ알고리즘/DFS
728x90
반응형
문제 정의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된다.
입력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M <= 1,000)
두 번째 줄부터 N + 1번째 줄까지 얼음 틀의 형태가 주어진다.
이때 구멍이 뚫려있는 부분은 0, 그렇지 않은 부분은 1이다.
출력
한 번에 만들 수 있는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4 5
00110
00011
11111
00000
예제 출력 1
3
접근 방법
1. 맵의 위치를 하나씩 받아 그 곳이 빈 얼음틀일 경우 DFS를 돌린다.
2. DFS에서는 현재 위치를 방문 처리한 뒤, 상하좌우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가 빈 얼음틀일 경우 재귀적으로 DFS가 돌아가도록 한다.
3. 위의 과정이 끝나면 count를 하나씩 늘려준다.
코드
n, m = map(int, input().split())
condition = [input().split() for _ in range(n)]
ice_map = [[i, j]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x, y = ice_map[1]
def ice_make(row, col, count=0, depth=0):
""" row, col : 탐색지점 좌표
count : 아이스크림 만들 수 있는 개수
"""
condition[row][col] = 1
for drow, dcol in [[1, 0], [0, 1], [-1, 0], [0, -1]]:
if [row+drow, col+dcol] in ice_map:
if not condition[row+drow][col+dcol]:
ice_make(row+drow, col+dcol, count, depth+1)
if depth == 0:
count +=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not condition[i][j]:
return ice_make(i, j, count)
return count
print(ice_make(3, 0))
- 전형적인 DFS 문제이다.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 D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온라인 저지, DFS / 13023번: ABCDE (파이썬 / 백준 골드문제) (0) | 2021.09.09 |
---|---|
백준 온라인 저널, DFS/10026번 : 적록색약(파이썬) / 백준 골드 문제 (0) | 2021.06.19 |
백준 온라인 저널, DFS/4963번 : 섬의 개수(파이썬) (0) | 2021.06.17 |
백준 온라인 저널, DFS/1012번 : 유기농 배추(파이썬) (0) | 2021.06.13 |
백준 온라인 저널, DFS/11724번 : 연결 요소의 개수(파이썬) (0) | 202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