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내용 정리(126)
-
풀스택서비스네트워킹(7), gRPC
gRPC 1. 함수 호출 방법(들) 0) 실행파일 구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윈도우즈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형태가 된다. text는 기계어로 번역된 코드가 작성되어있다. 그 위에 초기화가 된 데이터, 그 위에는 초기화가 되지 않은 데이터를 쌓는다. high address에 가면 stack이 있다. 이는 call stack을 의미한다. heap은 동적으로 할당하는 메모리가 차지하는 영역이다.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만들 경우 heap에 저장된다. 우리가 만든 함수도 컴퓨터 메모리 어딘가에 위치하게 된다. 함수를 호출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의 실행을 프로그램의 메모리 첫번째부분으로 옮긴다. 이후 코드를 읽어서 cpu에게 전달하고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한다. dll을 사용해서 다이나믹 링킹을 하는 경우에는 컴파일은..
2022.12.10 -
풀스택 서비스 네트워킹, 구글은 크롬을 왜 만들었을까?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은 광고 수익이다. 이를 위해 고객이 원하지 않아도 고객이 관심있는 광고를 빠르게 보내야한다. 구글이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어야하고, 이에 맞게 ui/ux를 따른다면 안드로이드 인증을 해준다. 따라서 삼성은 안드로이드 인증을 받았지만 샤오미는 이에 따르지 않았기에 인증을 받지 못했다. css, html, 자바스크립트의 표준이나 신기술 등 웹기반의 새로운 기술은 mozilla 재단이 만든다. 따라서 웹 관련 기술이 등장하면 모질라 재단의 firefox 브라우저는 매우 빠르게 도입한다. 신기술이 최적화가 안된 상황에서 firefox가 더 느리지만 대부분은 빠르기도 하다. firefox 브라우저는 개발자용 브라우저가 있다. 또한 VR의 기술은 firefox reality에 들어가있..
2022.12.04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및 도구(6), Online Cowork Tools
Online Cowork Tools 디지털 노마드 - 원격 통신 기술을 적극 활용해 다양한 공간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 - 최적의 일하는 환경을 조성해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 웨이 티켓 - 전세계에 흩어져서 디지털 노마드를 하는 사람들의 사례를 다큐멘터리를 만든 책이다. 교재에는 이를 소개하는 영상이 있다. . Digital Nomad Tool 디지털 노마드를 하기 위해 어떤 소프트웨어를 많이 사용하는가 ) Google Suite for Team Work - 구글 이메일, 구글 행아웃, 구글 문서, 구글 미트나 구글 드라이브 등 사용할 수 있다. ) Slack -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사용가능하다. - 화상이나 음성도 가능하다. - 커뮤니케이션 부분에서 SNS스러운 부분이 있다. - 기업은 일..
2022.11.16 -
데이터베이스(7), 내포된 SQL
내포된 SQL(embedded SQL) 1. 내포된 SQL cf) 질의를 하는 두 가지 방법 (1) 사용자가 DBMS에 질의어를 입력하면 인터렉티브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호스트 언어에 포함된 질의어로 질의를 보낸다. 이때 호스트 언어라고 하는 것은 SQL을 포함하고 있는 언어를 의미한다. 자바나 C언어, 파이썬 등이 호스트 언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는 SQL 언어가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만큼의 표현력을 가지지 않았기 떄문이다. 따라서 SQL만으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게 된다. 따라서 SQL로 표현할 수 없는 거는 호스트 언어를 통해 처리하게 된다. 조건문, 반복문, 입출력 등과 같은 동작, 상호작용, 질의 결과를 GUI로 보내는 등의 기능이 없기에 호스트 언어를 사용한다..
2022.10.25 -
데이터 베이스(6), DML, 트리거와 주장
DML, 트리거와 주장 1. DML 1) INSERT 문 INTO 다음에 삽입하는 릴레이션을 넣을 수 있는데, 이때 선택적으로 애트리뷰트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삽입되는 값은 튜플 형식으로 주는데 이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를 하는 것이다. 이를 명시하지 않으면 create table을 했을 때 주어진 애트리뷰트의 순서대로 처리한다. 오라클의 옛날 버전에서는 empty string을 null 값으로 줬지만 이를 구분하는 것이 맞다. null: ^ SELECT 문을 INSERT 문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SELECT를 통해 추출한 튜플들을 삽입하는 명령어가 된다. 이때 SELECT를 사용해서 INSERT를 하는 경우에는 어트리뷰트의 도메인이 동일해야한다. 따라서 이는 SAME이 아닌 COMPATIB..
2022.10.21 -
데이터베이스(5), SELECT문
SELECT 문 1. SELECT 문 1) SELECT 문은? 관계 대수의 실렉션, 프로젝션, 조인, 카티션 곱 등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 SELECT 절과 FROM 절은 필수적인 절이며 나머지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ELECT 절 뒤에 어트리뷰트가 들어가서 이는 관계 대수의 프로젝션을 의미한다. WHERE 절 뒤에 조건이 들어가는데 이는 관계 대수의 셀렉션에 의미한다. 이는 튜플에 대한 조건이다. 조건을 작성할 때 중첩 질의를 사용할 수도 있다. GROUPBY는 그룹화를 위해 사용한다. HAVING 절은 그룹이 만족시켜야하는 조건을 명시한다. 이는 그룹에 대한 조건이다. ORDER BY 절은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다. ex) SELECT 3 x 3;을..
2022.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