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9)
-
컴퓨터 네트워크 (7), Transport layer 1
Transport layer 1 TCP/UDP를 중심으로 설명 1. Transport layer basic Process to Process Delivery - Physical layer와 Data link layer는 두 장치의 송수신을 배움 -> node to node 전송 - 통신 장비가 매우 많아지면 network layer로 했다. -> host to host 전송 1) Process-to-Process Delivery - 앞서 4계층인 경우에는 컴퓨터 안에 있고, 어느 프로그램 중에 어느 프로그램이 목적지인지, 소스인지 확인하는 작업을 주로 한다. 그림을 보면 컴퓨터 내부에 있는 프로그램 중 소스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오른쪽의 프로그램 중에 데스티네이션이 있다. - host 내부에 있는 어느 프로..
2022.04.28 -
컴퓨터 네트워크 (6), Network Layer 2
Network Layer 2 1. Softwarization "Software is eating up the world." - Mark Adreeseen - 전세계에서 주요한 소프트웨어를 장악하는 것은 리눅스이다. 리눅스 파운데이션은 전통적인 OSI 7 layer는 소프트웨어가 IO Abstraction and data path에, disaggregate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커뮤니케이션과 해당된다. 어플리케이션 하나에 모든 것을 다하는 것이 과거의 접근이었다면 최근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분리되어있음. 1계층부터 4계층까지 IO Abstraction and data path에 집어넣는다. 전통적인 OSI 7 layer 처럼 네트워크를 복잡하게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1 ~ 4계층을 밑에 깐다. 또한 ..
2022.04.28 -
컴퓨터 네트워크 (5), Network Layer 1
Network Layer 전달받은 패킷을 어디에 전달할지를 정하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역할이다. 1. Network layer 개념 0) 개요 host to host 커뮤니케이션 - 컴퓨터가 host가 되고, 많은 줄과 호스트가 존재할 때 본인이 원하는 호스트와 연결하는 3계층 - Alice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노트북 / Bob은 서버 - 라우터는 3계충까지 올라갈 수 있기에 1계층부터 3계층까지 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라우터: 메세지를 받아서 제대로된 것으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받은 메세지를 어디로 보낼지 결정한다. - Alice -> R2 -> R5 -> R7 -> Bob의 과정을 통해 Alice에서 Bob에게 통신이가능하다. ex) 우체부 비유 1) Packetizing (..
2022.04.28 -
컴퓨터 네트워크 (4), MAC/DLC
MAC/DLC 1. Ethernet 1) Ethernet이란?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것들을 유선으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 - local area network를 위해 만들어짐, MAN을 만들 때에도 확장이 됨 - WAN에서도 이더넷이 사용됨 - 이더넷이라는 기술은 local area networks 중 하나였는데 MAN, WAN까지 확장됨 - 제록스라는 회사에서 만든 사적인 기술이었지만 1983년도에 IEEE에서 국제표준으로 인정함 -> 싸고 고속으로 끌어올리기에 굉장한 장점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이 됨 - 10BASE5로 10Mbit/s를 지원했는데 광섬유와 같은 고속의 선을 사용하면서 physical layer가 바뀌더라도 MAC layer가 바뀌지 않아도 되고,..
2022.04.28 -
컴퓨터 네트워크(3), DLC Layer
DLC Layer Physical layer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검출하고 복구할지에 대한 Layer 1. DLC Basic - MAC에도 에러 검출이 일부 있었지만 physical인 매체를 어떻게 복수의 노드들이 공유할지에 대한 내용이 주였음 - 에러 검출 및 복구를 제어하고 이를 에러 컨트롤이라 한다. - 프레이밍과 플로우 컨트롤, 에러 컨트롤 등의 기능을 한다. - 플로우 컨트롤(흐름 제어): 보내는자가 받는자의 상황을 고려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흐름과 속도를 조절한다. - 프레이밍: 메세지를 만듦 1) Framing - 보내는 정보는 형태를 갖춰야하기에 layer3가 보낸 정보에 추가적으로 DLC가 넣어야할 정보를 넣고, 사이즈 등을 조절한다. - 일정 크기나 일정 기준으로 나눈다. -..
2022.04.28 -
컴퓨터 구조 (6), Single-cycle MIPS processor
Single-cycle MIPS processor - 모든 명령어가 한 사이클에서 패칭부터 동작을 다 하는 것을 의미해 single cycle이라고 한다. Instruction fetching 하버드 아키텍쳐: 명령어 메모리와 데이터를 로드하는 메모리를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 - 분리되어있는 경우가 이해하기 쉽고, 구현하기도 쉽다. - 합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폰노이만 아키텍쳐이다. CPU는 무한히 반복되는 loop로 본다. R-type 명령어 - 어떤 instruction인지 알아야지 동작한다. - 오른쪽에 있는 내용이 register file이다. R-type 명령어가 들어왔을 때 동작 - PC값이 들어오면 명령에서 따라서 각각 레지스터별로 들어가고 RegWrite를 거친 뒤, ALU에서 특정 연산을 ..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