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9)
-
로그가 왜 중요해? 그러면 어떻게 로깅 할거야?
현재 음악 추천 서비스 개발을 진행 중이다. 2차 데모데이가 끝나고 3차 데모데이를 시작하는 주간에 백엔드에서는 로깅 롤링 전략을 정했다. 로깅이라는 것은 기록을 남기는 작업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때 로깅을 남긴다는 것은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이나 예외에 대해서 로깅을 남긴다고 생각하면 된다. 디깅룸 팀에서는 2차 데모데이까지는 예외에 대한 로깅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그리고 지난주에 로깅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전략을 짜기로 결정했다. 로깅의 중요성 사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예상치 못한 예외에 대한 로깅을 남기는 것만 중요하게 생각했다. 예상치 못한 동작이 진행되는 것들에 대해 로그를 남겨두면 추후에 개발자들이 보고 예상치 못한 예외를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로그가 의미 있다고..
2023.07.30 -
23년 07월 3주차, 일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JPA 책을 5장까지 읽었다. - 쿠키 세션을 적용해보면서 톰캣에서 지원하는 HttpSession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익혔다. - 4인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예외를 공통적으로 처리해주기 위한 커스텀 예외를 구현했다. - 2인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스프링에서 로그인과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했다. - 깃을 활용한 협업 경험을 익힐 수 있었다.(깃허브 액션도 포) 개인 성장 - 화, 수, 목, 일에 1시간 이상 운동을 했다. (러닝 + 팔굽혀펴기 + AB 슬라이드) - 영양제를 날마다 챙겨 먹었다. - 알고리즘을 3문제 풀었다. - 날마다 도시락을 싸와서 적어도 한끼는 도시락을 먹었다. 커뮤니티 - 파워와 함께 페어 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 - 월요일에 동근이를 ..
2023.07.25 -
23년 07월 2주차, 일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다 읽었다. - JPA 책 3장까지 읽었다. - JPA 미션을 진행했다. 개인 성장 - 평일 중 세번 이상 1시간 이상 운동을 했다. - 영양제를 꾸준히 먹었다. - 알고리즘 문제 중 세그먼트 트리 문제를 다시 풀면서 복습했다. 커뮤니티 - 프로젝트 내에서 기획 회의와 api 설계 회의를 계속 진행했다. - 강릉 놀러갈 멤버들과 영상통화를 했다. - 레벨 2 데일리 조원들과 함께 회식을 했다.(목)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이번주는 퇴근 이후에 운동을 했던 날들이 많았다. 건강 걱정도 되고 너무 체력이 떨어졌다는 생각이 들어서 월요일부터 한번 뛰어봤다. 생각보다 뛰고 난 이후에 상쾌한 느낌이 좋고, 하..
2023.07.14 -
23년 07월 12일, 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다 읽었다. - JPA 책 3장을 읽었다. 개인 성장 - 영양제도 먹고 운동을 했다. - 오늘도 금주! 커뮤니티 - 프로젝트 깃 브랜칭 전략과 2차 스프린트 핵심 기능 API를 정했다. - 일과 이후에 끄투를 하면서 놀았다.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오늘 무척 힘든 하루였다. 레벨 3 기간 중에 제일 힘든 날 중 하나였다. 수요일까지 버티면서 피곤함도 누적되고 회의의 호흡이 너무 길기도 했다. 뭐랄까 오늘은 쳇바퀴 돌아가듯이 비슷한 이야기를 계속 반복하는 느낌이었다. 계속 한시간 뒤로 돌아가서 동일한 이야기를 하는 느낌...! 나름 의미있는 시간이었지만 그래도 '더 빠르게 진행하고 다음 주제로 넘어갈 ..
2023.07.13 -
추천 서비스에서 '좋아요' 대신 '싫어요' 기능을 넣기로 한 이유
얼마전 1차 데모데이 때 이런 피드백을 받았다. "싫어요 기능이 꼭 필요할까요? 차라리 좋아요라는 기능을 넣는 것이 추천 서비스에 더 적합하지 않을까요? 긍정문이어서 거부감도 적을 것 같고요." 지난 포스팅에서도 작성했지만 우리 프로젝트는 '사용자의 선호에 맞춘 음악 추천 서비스'이다. 현재 안드로이드 파트와 백엔드 파트가 모여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1차 데모데이 때 서비스 핵심 기능을 발표하면서 위와 같은 질문/피드백을 받았다. 당시에 질문과 피드백에 대해 일부 공감하긴 했지만 마음 속에선 계속해서 꺼림칙한 느낌이 들었다. 왜 꺼림칙하지? 조직행동론 곰곰히 생각을 해보다가 이전에 공부한 조직행동론을 떠올리게 되었다. 조직행동론은 심리학과 경영학에 기초한 학문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서 잘 일할..
2023.07.12 -
23년 07월 11일, 일일 회고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자바 공부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2장을 읽었다. - JPA 스터디를 했다.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책 6장과 부록을 읽었다. 개인 성장 - 우리 프로젝트에서 싫어요 기능을 그대로 남기기로 한 이유를 동기부여 이론에 근거해서 한번 작성해봤다. - 영양제도 빠지지 않고 잘 먹었다. - 운동을 했다. 커뮤니티 - 프로젝트 기획 회의를 계속 진행했다. 깃허브 이슈나 프로젝트 등 템플릿을 정하면서 협업 툴을 익혔다. - 진형, 규리, 영현, 희주와 영상 통화를 했다.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오랜만에 학술적인 글을 작성해봤다. 피드백 받았던 내용에 대해 내 생각을 담은 글인데 그래도 이론에 기반해있으니까 나름 학술적이라고 할 수..
2023.07.12